조선시대 성범죄 처벌사례....지금 현시대보다 이성적이네요.

김00 20-12-21 14:15 34 1

극악한 아동성범죄자인 조두순이 12년형을 살고 만기출소했습니다. 영원한 사회 격리도 아니고, 이런 인면수심한 사람이 너무도 가벼운 처벌을 받았다는 여론이 들끓고 있는데요. 조두순의 집 근처에 살고 있는 마을 주민들은 또 무슨 죄냐는 생각도 듭니다. 그렇다면 조선시대라면 조두순 같은 사람에게 어떤 처벌을 내렸을까요. 뼈도 못추린 조선시대 성범죄 처벌사례를 일러드립니다.

 

 

혜원 신윤복의 소년전홍’. 젊은이가 앳된 여성의 손목을 잡고 있다.|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혜원 신윤복의 소년전홍’. 젊은이가 앳된 여성의 손목을 잡고 있다.|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

12세 이하와의 성관계는 무조건 간음

 

 

조선시대 형법은 주로 명·청나라 형률서인 <대명률> <대청률>을 따랐습니다. 이들 형률서의 성범죄 처벌 조항은 무시무시합니다. “무릇 화간(和姦)은 장 80, 남편이 있으면 장 90대이다. 조간(勺姦·여성을 유혹한 뒤 간음)은 장 100대이고, 강간은 교수형에 처한다. 강간미수죄는 장 100대에 유배 3000리이다.”(<대명률>·‘형률 범간조’)

 

 

특히 12세 이하 어린 아이를 간음할 경우를 볼까요. 1395(태조 4) <대명률>을 이두로 번역해서 출간한 <대명률직해> 390-2조를 보면 비록 12세 이하와의 성관계는 화간이라 해도 강간죄로 처벌했습니다.

 

 

왜냐. ‘12세 이하의 어린 여자는 아직 남녀의 정의(情意)가 생기지 않아 음심(淫心)이 없고 또 속이거나 통제하기 쉬우므로 화간의 정상이 있더라도 속임을 당한 것이기에 역시 강간과 같이 논한다는 해석(<대청률집주>)을 따랐기 때문입니다,

 

 

혜원 신윤복의 청금상련’. 고위관리들이 의정부나 육조 같은 관아의 후원에서 기생이나 의녀들을 희롱하는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혜원 신윤복의 청금상련’. 고위관리들이 의정부나 육조 같은 관아의 후원에서 기생이나 의녀들을 희롱하는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

이것은 현행 형법 제305조의 미성년자 간음 및 추행, 16세 미만의 사람과 합의하에 간음하였다 하더라도 강간으로 간주하는 것과 일맥상통합니다. 그러나 처벌은 지금보다 조선시대가 더욱 엄했습니다.

 

 

강간범은 교수형에 처했고, 강간미수범이라도 곤장 100대에 유배형 3000를 선고했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강간 및 강간미수범을 엄하게 처벌했을까요. 간음이 윤리를 무너뜨리고, 교화를 손상시키는 중대범죄로 여겼기 때문입니다. 처벌 조항만 그랬던 것이 아닙니다.

 

 

조선시대 형법은 주로 명나라 형률서인 <대명률>을 따랐다. 강간죄는 교수형에 해당됐고, 강간미수라도 장 100대와 유배 3000리의 처벌을 받았다. 12세 이하 어린아이와의 성관계 때는 화간이었다 해도 강간죄에 따라 처벌했다.

조선시대 형법은 주로 명나라 형률서인 <대명률>을 따랐다. 강간죄는 교수형에 해당됐고, 강간미수라도 장 100대와 유배 3000리의 처벌을 받았다. 12세 이하 어린아이와의 성관계 때는 화간이었다 해도 강간죄에 따라 처벌했다.

.

우선 <태조실록> 1398년 윤 516일자를 볼까요. “11살 어린 아이를 강간한 사노 잉읍금을 교수형에 처했다는 기사가 보이네요. <세종실록> 14291127일자에도 일벌백계의 처벌 사례가 나오는군요.

 

 

칠원(함안) 사람 정경이 처녀 연이를 강간하려 밤새도록 때렸습니다. 연이가 완강히 항거하다 죽었습니다. 정경은 교수형에 처하고, 연이는 정려문을 세워 정절(貞節)을 표창하게 하소서.”

 

 

욕정을 함부로 발산했다가는 뼈도 못추릴 엄격한 형벌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런데도 말입니다.

 

 

성범죄는 끊이지 않았답니다. 1404(태종 4) 사노(私奴) 실구지 형제와 그들의 처남인 박질이 능지처사의 혹독한 처벌을 받습니다.

 

 

판사(1~3품까지의 고위직) 이자지 부부가 잇달아 사망하자 부부의 16살짜리 딸 내은이가 삼년상을 치르려 했다. 그런데 가노(家奴) 실구지 형제와 그의 처남 등 3명이 내은이를 자기 집으로 끌고가 손발을 묶었다. 내은이는 밤새도록 저항했으니 그만 힘이 빠져.”(<태종실록> 1404227)

 

 

실구지 형제에게는 사지를 서서히 찢어죽이는 능지처참형(거열형)을 받았답니다. 교수형도 모자라 능지처참형을 당한 까닭은 실구지 형제가 삼년상을 치르려던, 그것도 상전을 겁간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가중처벌을 받은 셈지요.

 

.

강간미수 전직 공무원은 변방의 관노로 전락

 

 

1477(성종 8)1216, 내은산이라는 사람은 의붓 아버지와 짜고 양녀 덕비라는 여인을 부인으로 삼고자 했습니다. 이들은 덕비와 덕비 아버지가 길을 가는 것을 보고는 아비를 강제로 붙들고, 덕비를 업고 달아났습니다. 덕비는 내은산의 집으로 끌려가 강간을 당하고 말았습니다.

 

 

부자가 짜고 천인공노할 짓을 지지른 겁니다. 이 사건으로 내은산은 교수형의 처벌을 받았습니다. 주범이 아버지냐 아들이냐를 두고 조정에서 논란이 벌어졌지만 결국 양녀를 겁간한 당사자인 아들이 극형을 받은 것으로 끝났습니다.(<성종실록>)

 

 

사족(士族)의 부녀를 강간하려 한 전직 공무원은 강간미수임에도 노비로 전락하는 수모를 당하기도 했습니다. 군수를 지낸 황우형이라는 인물이 그 오명의 주인공이었습니다.

 

 

황우형은 1472(성종 3) 한밤 중에 사족의 부녀인 반씨의 방에 들어가 강간을 하려다가 반씨의 어머니와 종이 막아서는 바람에 미수에 그쳤습니다. 성종은 죄질이 좋지 않다는 사헌부의 주청에 따라 황우형의 직첩(관리임명장)을 회수하고 영원히 등용하지 않으며, 유배 3000리의 처벌을 내린다고 판결했습니다. 그러나 이 처벌 또한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황우형은 다시 변방 중의 변방인 회령의 관노(官奴)로 쫓겨나는 신세가 됐습니다.(<성종실록> 1472413)

 

 

KBS 사극 불멸의 이순신에서 묘사한 능지처참형(거열형). 사지를 찢어죽이는 극형이다. 성범죄범 중에서도 악질인 자에게는 능지처참형을 내렸다.

KBS 사극 불멸의 이순신에서 묘사한 능지처참형(거열형). 사지를 찢어죽이는 극형이다. 성범죄범 중에서도 악질인 자에게는 능지처참형을 내렸다.

.

사면령에서도 제외된 강간죄

 

 

그뿐이 아닙니다. 강간은 모반과 같은 대역죄와 존속살인 등과 맞먹는 중죄로 취급됐답니다.

 

 

즉 국가의 경사 때 종종 시행한 대사면령에도 강간죄는 해당되지 않았습니다. 단적인 예로 성종(1469~1494)1471(성종 2) 12420살의 나이에 요절한 아버지(1438~1457)를 의경왕(훗날 덕종으로 추존)으로 추승하면서 대사면령을 내렸는데요. 그런데 사면령에서 제외되는 중죄를 나열했습니다.

 

 

모반(謀反·역적모의대역 모반(大逆謀叛

댓글목록
  • o o윤 () 답변 삭제

    극악한 아동성범죄자인 조두순이 12년형을 살고 만기출소했습니다. 영원한 사회 격리도 아니고, 이런 인면수심한 사람이 너무도 가벼운 처벌을 받았다는 여론이 들끓고 있는데요. 조두순의 집 근처에 살고 있는 마을 주민들은 또 무슨 죄냐는 생각도 듭니다. 그렇다면 조선시대라면 조두순 같은 사람에게 어떤 처벌을 내렸을까요. 뼈도 못추린 조선시대 성범죄 처벌사례를 일러드립니다.

     




     


    혜원 신윤복의 ‘소년전홍’. 젊은이가 앳된 여성의 손목을 잡고 있다.|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혜원 신윤복의 ‘소년전홍’. 젊은이가 앳된 여성의 손목을 잡고 있다.|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

    ■12세 이하와의 성관계는 무조건 간음

     


     


    조선시대 형법은 주로 명·청나라 형률서인 <대명률> <대청률>을 따랐습니다. 이들 형률서의 성범죄 처벌 조항은 무시무시합니다. “무릇 화간(和姦)은 장 80대, 남편이 있으면 장 90대이다. 조간(勺姦·여성을 유혹한 뒤 간음)은 장 100대이고, 강간은 교수형에 처한다. 강간미수죄는 장 100대에 유배 3000리이다.”(<대명률>·‘형률 범간조’)

     


     


    특히 12세 이하 어린 아이를 간음할 경우를 볼까요. 1395년(태조 4년) <대명률>을 이두로 번역해서 출간한 <대명률직해> 390-2조를 보면 비록 12세 이하와의 성관계는 ‘화간’이라 해도 강간죄로 처벌했습니다.

     


     


    왜냐. ‘12세 이하의 어린 여자는 아직 남녀의 정의(情意)가 생기지 않아 음심(淫心)이 없고 또 속이거나 통제하기 쉬우므로 화간의 정상이 있더라도 속임을 당한 것이기에 역시 강간과 같이 논한다’는 해석(<대청률집주>)을 따랐기 때문입니다,

     




     


    혜원 신윤복의 ‘청금상련’. 고위관리들이 의정부나 육조 같은 관아의 후원에서 기생이나 의녀들을 희롱하는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혜원 신윤복의 ‘청금상련’. 고위관리들이 의정부나 육조 같은 관아의 후원에서 기생이나 의녀들을 희롱하는 장면을 그린 그림이다. |간송미술문화재단 소장

    .

    이것은 현행 형법 제305조의 미성년자 간음 및 추행, 즉 16세 미만의 사람과 합의하에 간음하였다 하더라도 강간으로 간주하는 것과 일맥상통합니다. 그러나 처벌은 지금보다 조선시대가 더욱 엄했습니다.

     


     


    강간범은 교수형에 처했고, 강간미수범이라도 ‘곤장 100대에 유배형 3000리’를 선고했기 때문입니다. 왜 이렇게 강간 및 강간미수범을 엄하게 처벌했을까요. 간음이 윤리를 무너뜨리고, 교화를 손상시키는 중대범죄로 여겼기 때문입니다. 처벌 조항만 그랬던 것이 아닙니다.

     




     


    조선시대 형법은 주로 명나라 형률서인 <대명률>을 따랐다. 강간죄는 교수형에 해당됐고, 강간미수라도 장 100대와 유배 3000리의 처벌을 받았다. 12세 이하 어린아이와의 성관계 때는 ‘화간’이었다 해도 강간죄에 따라 처벌했다.

    조선시대 형법은 주로 명나라 형률서인 <대명률>을 따랐다. 강간죄는 교수형에 해당됐고, 강간미수라도 장 100대와 유배 3000리의 처벌을 받았다. 12세 이하 어린아이와의 성관계 때는 ‘화간’이었다 해도 강간죄에 따라 처벌했다.

    .

    우선 <태조실록> 1398년 윤 5월16일자를 볼까요. “11살 어린 아이를 강간한 사노 잉읍금을 교수형에 처했다”는 기사가 보이네요. 또 <세종실록> 1429년 11월27일자에도 일벌백계의 처벌 사례가 나오는군요.

     


     


    “칠원(함안) 사람 정경이 처녀 연이를 강간하려 밤새도록 때렸습니다. 연이가 완강히 항거하다 죽었습니다. 정경은 교수형에 처하고, 연이는 정려문을 세워 정절(貞節)을 표창하게 하소서.”

     


     


    욕정을 함부로 발산했다가는 뼈도 못추릴 엄격한 형벌임에 틀림없습니다. 그런데도 말입니다.

     


     


    성범죄는 끊이지 않았답니다. 1404년(태종 4년) 사노(私奴) 실구지 형제와 그들의 처남인 박질이 능지처사의 혹독한 처벌을 받습니다.

     


     


    “판사(1품~3품까지의 고위직) 이자지 부부가 잇달아 사망하자 부부의 16살짜리 딸 내은이가 삼년상을 치르려 했다. 그런데 가노(家奴) 실구지 형제와 그의 처남 등 3명이 내은이를 자기 집으로 끌고가 손발을 묶었다. 내은이는 밤새도록 저항했으니 그만 힘이 빠져….”(<태종실록> 1404년 2월27일)

     


     


    실구지 형제에게는 사지를 서서히 찢어죽이는 능지처참형(거열형)을 받았답니다. 교수형도 모자라 능지처참형을 당한 까닭은 실구지 형제가 삼년상을 치르려던, 그것도 상전을 겁간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가중처벌을 받은 셈지요.

     


    .

    ■강간미수 전직 공무원은 변방의 관노로 전락

     


     


    1477년(성종 8년)12월 16일, 내은산이라는 사람은 의붓 아버지와 짜고 양녀 덕비라는 여인을 부인으로 삼고자 했습니다. 이들은 덕비와 덕비 아버지가 길을 가는 것을 보고는 아비를 강제로 붙들고, 덕비를 업고 달아났습니다. 덕비는 내은산의 집으로 끌려가 강간을 당하고 말았습니다.

     


     


    부자가 짜고 천인공노할 짓을 지지른 겁니다. 이 사건으로 내은산은 교수형의 처벌을 받았습니다. 주범이 아버지냐 아들이냐를 두고 조정에서 논란이 벌어졌지만 결국 양녀를 겁간한 당사자인 아들이 극형을 받은 것으로 끝났습니다.(<성종실록>)

     


     


    사족(士族)의 부녀를 강간하려 한 전직 공무원은 ‘강간미수’임에도 노비로 전락하는 수모를 당하기도 했습니다. 군수를 지낸 황우형이라는 인물이 그 오명의 주인공이었습니다.

     


     


    황우형은 1472년(성종 3년) 한밤 중에 사족의 부녀인 반씨의 방에 들어가 강간을 하려다가 반씨의 어머니와 종이 막아서는 바람에 미수에 그쳤습니다. 성종은 ‘죄질이 좋지 않다’는 사헌부의 주청에 따라 ‘황우형의 직첩(관리임명장)을 회수하고 영원히 등용하지 않으며, 유배 3000리의 처벌을 내린다’고 판결했습니다. 그러나 이 처벌 또한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황우형은 다시 변방 중의 변방인 회령의 관노(官奴)로 쫓겨나는 신세가 됐습니다.(<성종실록> 1472년 4월 13일)

     




     


    KBS 사극 ‘불멸의 이순신’에서 묘사한 능지처참형(거열형). 사지를 찢어죽이는 극형이다. 성범죄범 중에서도 악질인 자에게는 능지처참형을 내렸다.

    KBS 사극 ‘불멸의 이순신’에서 묘사한 능지처참형(거열형). 사지를 찢어죽이는 극형이다. 성범죄범 중에서도 악질인 자에게는 능지처참형을 내렸다.

    .

    ■사면령에서도 제외된 강간죄

     


     


    그뿐이 아닙니다. 강간은 모반과 같은 대역죄와 존속살인 등과 맞먹는 중죄로 취급됐답니다.

     


     


    즉 국가의 경사 때 종종 시행한 대사면령에도 강간죄는 해당되지 않았습니다. 단적인 예로 성종(1469~1494)은 1471년(성종 2년) 1월24일 20살의 나이에 요절한 아버지(1438~1457)를 의경왕(훗날 덕종으로 추존)으로 추승하면서 대사면령을 내렸는데요. 그런데 사면령에서 제외되는 중죄를 나열했습니다.

     


     


    “모반(謀反·역적모의)·대역 모반(大逆謀叛

총신가정폭력상담소,지구촌가족성폭력상담소

전화문자카톡관리자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