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사내 성폭력 더 있다…근본 원인은 조직 문화”
포스코에서 발생한 성폭력 피해자를 지원하고 있는 시민단체 포항여성회가 포스코의 사내 성폭력이 더 존재한다면서 근본적인 조직 문화가 성폭력 사태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김정희 포항여성회 회장 28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사내 성폭력 관련 추가 제보가 있느냐는 질문에 “(제보받은 내용이) 있는데 지금 언론에 내가 좀 그렇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이어 “저는 (사내 성폭력이) 충분히 있다고, 많이 있을 거라고 본다”면서 포스코의 조직 문화가 “군대 문화”라며 비판했다.
그는 “(포스코 내부는) 남성들이 대부분이고 음담패설을 마치 유머인 양 성희롱적인 발언을 한다”며 “남성이 바람을 피우면 마치 자랑스러운 일인 양 떠벌리고 다니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언어적인 부분의 성희롱은 부지기수였고 신체접촉도 있었다”며 “피해자는 성차별적이고 언어적 성폭력이 난무하는 그런 조직문화에 굉장히 힘들어했다”고 덧붙였다.
피해자는 지난해 12월 사측에 성폭력 피해를 신고했고 가해자는 3개월 감봉 징계를 받았다. 하지만 피해자는 2차 가해에 시달리는 가운데 다른 부서로 갔다가 복귀하는 등 인사이동을 경험해야 했다.
김 회장은 “(성폭력 사실에 대해) 비밀유지가 되지 않아 부서 안에서 2차 피해가 많이 심했다”며 “왕따도 당하고 피해자 유발론(피해자가 상황을 유발시켰다)도 나와서 피해자가 타 부서로 옮겨갔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해자가 부서 이동을 해야 하는데, 피해자를 이동시킨 것은 불이익 조치”라고 덧붙였다.
김 회장은 피해자가 복귀한 부서의 상사가 지난달 29일 피해자에게 성폭행을 시도한 것에 대해서도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지라는 생각이 든다”고 분노했다.
그는 특히 포스코 대처 방식과 관련해 “직장 내 성폭력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포스코는 이 조직 문화를 바꾸려고 하는 노력을 했었어야 했다”고 질타했다.
이어 “가해자 엄벌하고 하는 것도 필요하고 적법한 절차대로, 매뉴얼대로 진행을 해서 재발 방지에 최선을 다하는 노력을 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서 “실제로 교육도 안 했는데 교육한 것처럼 사인만 하도록 했다. 너무 어처구니없다”고 비판했다.
-
지구촌가족성폭력상담소 () 답변
포스코에서 발생한 성폭력 피해자를 지원하고 있는 시민단체 포항여성회가 포스코의 사내 성폭력이 더 존재한다면서 근본적인 조직 문화가 성폭력 사태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김정희 포항여성회 회장 28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사내 성폭력 관련 추가 제보가 있느냐는 질문에 “(제보받은 내용이) 있는데 지금 언론에 내가 좀 그렇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이어 “저는 (사내 성폭력이) 충분히 있다고, 많이 있을 거라고 본다”면서 포스코의 조직 문화가 “군대 문화”라며 비판했다.
그는 “(포스코 내부는) 남성들이 대부분이고 음담패설을 마치 유머인 양 성희롱적인 발언을 한다”며 “남성이 바람을 피우면 마치 자랑스러운 일인 양 떠벌리고 다니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언어적인 부분의 성희롱은 부지기수였고 신체접촉도 있었다”며 “피해자는 성차별적이고 언어적 성폭력이 난무하는 그런 조직문화에 굉장히 힘들어했다”고 덧붙였다.
피해자는 지난해 12월 사측에 성폭력 피해를 신고했고 가해자는 3개월 감봉 징계를 받았다. 하지만 피해자는 2차 가해에 시달리는 가운데 다른 부서로 갔다가 복귀하는 등 인사이동을 경험해야 했다.
김 회장은 “(성폭력 사실에 대해) 비밀유지가 되지 않아 부서 안에서 2차 피해가 많이 심했다”며 “왕따도 당하고 피해자 유발론(피해자가 상황을 유발시켰다)도 나와서 피해자가 타 부서로 옮겨갔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해자가 부서 이동을 해야 하는데, 피해자를 이동시킨 것은 불이익 조치”라고 덧붙였다.
김 회장은 피해자가 복귀한 부서의 상사가 지난달 29일 피해자에게 성폭행을 시도한 것에 대해서도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지라는 생각이 든다”고 분노했다.
그는 특히 포스코 대처 방식과 관련해 “직장 내 성폭력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다. 포스코는 이 조직 문화를 바꾸려고 하는 노력을 했었어야 했다”고 질타했다.
이어 “가해자 엄벌하고 하는 것도 필요하고 적법한 절차대로, 매뉴얼대로 진행을 해서 재발 방지에 최선을 다하는 노력을 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않았다”면서 “실제로 교육도 안 했는데 교육한 것처럼 사인만 하도록 했다. 너무 어처구니없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