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 폭로’ 강민진의 눈물…“女 청년 정치인, 저 같은 일 겪지 말길”
정치권에서 불거진 '성폭력 사태'가 쓰나미처럼 밀려들어오고 있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소속이었던 박완주 의원이 '성비위 사건'에 이어 정의당에서도 '성폭력 의혹'이 수면 위로 드러나며 적지 않은 파장이 일고 있다. 여성의 인권과 도덕성을 중시하는 진보 정당에서 연이어 성비위가 터져 나오면서 논란은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강민진 전 청년정의당 대표는 지난 16일 당 내에서 2번의 '성폭력 피해'를 입었다고 폭로했다. 당시 강민진 전 대표는 자신의 SNS를 통해 "저는 청년정의당 당직자 A씨로부터 성폭력을 당했다"며 "저에 대한 잘못된 주장이 전 당직자에 의해 유포되고 언론에까지 보도된 후, 이로 인한 충격으로 자살을 결심했다가 정신과 폐쇄병동에 입원하는 등 이미 벼랑 끝에 몰려 있었던 상황이었다"고 밝혔다.
강 전 대표는 또 다른 인물인 광역시도당 위원장 B씨에게도 성폭력 피해를 당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해 11월 대선을 앞두고 열린 전국 행사의 뒤풀이 자리에서, 모 광역시도당 위원장은 제 허벅지에 신체 접촉을 했다"면서 "저는 이 같은 일이 있었다는 것을 대선 선거대책위원회 관련 회의에서 여영국 대표 등에게 처음 공식적으로 알렸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그는 "하지만 회의 현장에서 여 대표는 '이번 일은 공식 절차를 밟지 않고, 내가 해당 위원장에게 경고를 하겠다. 아무도 이 일에 대해 발설하지 말라'는 내용으로 결론을 지었다"며 "저는 그로부터 사과문을 받고, 사과문을 수용하는 것 외에는 선택지가 없었다"고 했다. 특히 두 번째 가해자로 지목된 B씨는 이번 6·1 지방선거에 단체장 후보로 출마해 더 큰 충격을 안겼다.
해당 의혹과 관련해 정의당 측은 지도부의 은폐 시도 주장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정의당 관계자는 "강씨의 요청에 따라 관련 회의를 비공개로 진행했고, 강씨의 요구대로 서면 사과를 받고 마무리된 사안"이라며 "당직자에 대해서는 조사가 절차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강 전 대표는 명백한 성폭력이 있었고 정의당이 이를 부인하며 '2차가해'를 하고 있다고 재반박에 나서 진실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그는 "이제 저는 정치를 더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다른 여성 청년들이 정치에 도전할 때 저 같은 일을 겪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답답한 심경을 토로했다.
본지는 23일 강민진 전 대표와 서면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하는 강 전 대표와의 일문일답.
Q①. 성폭력 폭로 이후 어떻게 지냈나.
△A①. 저는 정의당 내에서 제가 당했던 성폭력 사건 두 건을 공개적으로 이야기했습니다. 더 이상 가슴에 묻고 제가 살아갈 수가 없겠다는 심정으로 폭로를 결심했습니다. 정의당에서는 제가 피해를 호소한 다음 날, "그것은 성폭력이 아니라 불필요한 신체접촉이었다"는 내용의 공식 입장을 발표했습니다. 당의 입장문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정의당이 더 이상 제가 알던 정의당이 아닌 것만 같습니다. 지금 저는 절망 속에 있습니다. 제 심정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가해자 중 한 명은 정의당의 지방선거 단체장 후보로서 현재도 선거운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습니다. 그를 공천한 것에 대해 당 차원의 재검토는 없는 것으로 들었습니다.
Q②. 폭로 이후 정의당 측에서 따로 연락을 취해온 것이 있는지.
△A②. 제가 처음 피해를 공개적으로 밝히고 다음날 당 입장문이 발표되기까지 당으로부터는 어떠한 연락도 오지 않았습니다. 저에게 사실 확인을 거치지 않은 채로 당 입장문을 발표했습니다. 당 입장문이 발표되고 며칠 뒤, 최근에 여영국 당대표 명의의 공문을 이메일로 수신했습니다. 저를 추행한 정의당 광역시도당위원장 사건에 대해 조사를 시작한다는 간략한 내용이었습니다. 이에 대해 저는 '성폭력이 아니라 불필요한 신체접촉'이라는 당 입장을 유지하는 채로 조사를 하는 것인지, 가해자 공천은 유지하는 것인지 질의하였습니다만, 아직 답변을 받지는 못했습니다.
Q③. 폭로 이후 가해자로부터 직접적인 사과라던지, 연락을 취해온 일이 있나.
△A③. 두 건의 성폭력 사건 중에, 청년정의당 당직자에 의한 사건이 있습니다. 해당 가해자는 제가 피해를 밝힌 뒤에 저에게 개인적으로 연락을 시도하였습니다. 그에게 더 이상 연락하지 말아달라고 했습니다. 폭로 이후, 두 건 모두 가해자들로부터 사과를 받지는 못했습니다.
Q④. 청년 정치인의 성폭력 고백, 쉽지 않았을 결정이었을 텐데.
△A④. 지금 정의당 내의 당 간부들이나 당원들의 경우, 저에게 "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성폭력 피해 폭로를 했다"는 비난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만약 저의 정치적 입지를 생각했다면, 피해 사실을 영원히 숨겼을 것입니다. 제가 폭로를 한 이후 당에서 나오는 반응을 보면 정의당에서 저의 정치적 가능성은 끝난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비록 당에서 이 정도로 피해 호소를 묵살하는 입장이 나올 줄은 몰랐지만, 어찌되었건 저는 제 정치생명을 걸고 목소리 내기를 택한 것입니다. 피해를 밝히기 전에, 저는 '정치를 계속할 것인가, 아니면 존엄하게 생존할 것인가'를 고민했고, 결국 저 스스로의 존엄과 생존을 위해 피해를 밝히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다만 정당이라는 집단을 상대로 목소리를 내야 하는 상황에 처하다 보니, 권력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새삼 느끼게 됩니다. 당내에서 피해자를 '못 믿을 사람'으로 낙인찍는 과정을 보면서 또다시 억울할 수밖에 없습니다. 한때 당 내에서 친분이 있던 사람들마저 저에게 등을 돌리는 모습 역시 가슴이 찢어집니다.
Q⑤. 정의당이 밝힌 공식입장에 대해 반박하는 입장이 있다면.
△A⑤. 이미 SNS를 통해 여러 차례 밝혔습니다만 저는 단 한 줄도 거짓을 고하지 않았습니다. 11월에 일어났던 모 광역시도당위원장 사건의 경우, 저는 비공개 선대위 회의에서 처음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하였고 구체적인 피해 내용을 밝혔습니다. 해당 위원장이 두 차례 신체접촉을 하였고, 해당 부위는 제 허벅지 안쪽이었으며, 저는 당황해서 몸이 굳어 있다가 자리를 피했는데 가해자가 계속 따라와서 곤란하였다는 상황을 구체적으로 말씀 드렸습니다. 또한 당일 가해자는 다른 성폭력 사안에 대해 2차 가해 발언을 하고, 여성 정치인에 대해 '년'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고 보고 하였습니다. 저는 그가 한 행위가 "성추행이 아니다"라는 말을 공식 회의에서 드린 바가 없습니다. 오히려 "제가 당내에서 겪은 젠더폭력이 이것만이 아니다"라고 말씀드려서, 제가 이것을 성 관련 사안이라 인지하고 있음을 말씀드렸습니다. 당에서는 제가 먼저 '엄중 경고와 사과'로 사안을 덮기를 주장했다고 입장을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제가 이 문제를 처음 제기한 공식 회의에서 저는 제가 먼저 그렇게 주장하지 않았습니다. 회의의 결론을 낸 것은 당대표였습니다. 당시에는 위축되고 혼란스런 심정 속에서 회의 결론에 제가 반발하지 않았습니다. 반발하지 않은 것이 잘못이라면 잘못이겠지만, 제가 먼저 사건을 덮자고 주장한 것처럼 당이 입장을 내고 있는 것은 납득되지 않습니다.
Q⑥. 해당 사건에 대해 향후 어떠한 조치를 취할 계획인지.
△A⑥. 사실 지금 저는 몸과 마음이 너무 많이 무너져서 향후 계획에 대한 생각은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의당 내에서 정의를 구할 수 없다면 다른 방식을 택해야 한다는 고민은 하고 있습니다만 구체적으로는 아직 고민하지 못했습니다.
Q⑦. 다른 할 말이 있다면.
△A⑦. 지난 11월, 모 광역시도당위원장에 의한 성추행 사안을 당의 공식 회의에서 문제제기하기로 결심했을 때, 저는 당이 제발 변화하기를 바랐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저는 또다시 당직자에 의한 성폭력 피해를 입어야 했습니다. 가해자에 대한 조치와 처벌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도 문제이지만, 가해자 개인을 조치하는 것을 넘어서 당의 전반적인 조직문화가 변화하기를 바랍니다. 정의당이 그동안 문제를 대하는 방식은, '바깥으로 논란이 되면 개인으로 꼬리자르고',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면 문제가 되지 않는' 악순환을 반복해왔다고 생각합니다. 진보정당이라는 조직이 그러해서는 안 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이제 저는 정치를 더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다른 여성 청년들이 정치에 도전할 때 저 같은 일을 겪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
지구촌가족성폭력상담소 () 답변
정치권에서 불거진 '성폭력 사태'가 쓰나미처럼 밀려들어오고 있다. 최근 더불어민주당 소속이었던 박완주 의원이 '성비위 사건'에 이어 정의당에서도 '성폭력 의혹'이 수면 위로 드러나며 적지 않은 파장이 일고 있다. 여성의 인권과 도덕성을 중시하는 진보 정당에서 연이어 성비위가 터져 나오면서 논란은 걷잡을 수 없이 커졌다.
강민진 전 청년정의당 대표는 지난 16일 당 내에서 2번의 '성폭력 피해'를 입었다고 폭로했다. 당시 강민진 전 대표는 자신의 SNS를 통해 "저는 청년정의당 당직자 A씨로부터 성폭력을 당했다"며 "저에 대한 잘못된 주장이 전 당직자에 의해 유포되고 언론에까지 보도된 후, 이로 인한 충격으로 자살을 결심했다가 정신과 폐쇄병동에 입원하는 등 이미 벼랑 끝에 몰려 있었던 상황이었다"고 밝혔다.
강 전 대표는 또 다른 인물인 광역시도당 위원장 B씨에게도 성폭력 피해를 당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난해 11월 대선을 앞두고 열린 전국 행사의 뒤풀이 자리에서, 모 광역시도당 위원장은 제 허벅지에 신체 접촉을 했다"면서 "저는 이 같은 일이 있었다는 것을 대선 선거대책위원회 관련 회의에서 여영국 대표 등에게 처음 공식적으로 알렸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그는 "하지만 회의 현장에서 여 대표는 '이번 일은 공식 절차를 밟지 않고, 내가 해당 위원장에게 경고를 하겠다. 아무도 이 일에 대해 발설하지 말라'는 내용으로 결론을 지었다"며 "저는 그로부터 사과문을 받고, 사과문을 수용하는 것 외에는 선택지가 없었다"고 했다. 특히 두 번째 가해자로 지목된 B씨는 이번 6·1 지방선거에 단체장 후보로 출마해 더 큰 충격을 안겼다.
해당 의혹과 관련해 정의당 측은 지도부의 은폐 시도 주장에 대해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정의당 관계자는 "강씨의 요청에 따라 관련 회의를 비공개로 진행했고, 강씨의 요구대로 서면 사과를 받고 마무리된 사안"이라며 "당직자에 대해서는 조사가 절차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강 전 대표는 명백한 성폭력이 있었고 정의당이 이를 부인하며 '2차가해'를 하고 있다고 재반박에 나서 진실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그는 "이제 저는 정치를 더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다른 여성 청년들이 정치에 도전할 때 저 같은 일을 겪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답답한 심경을 토로했다.
본지는 23일 강민진 전 대표와 서면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하는 강 전 대표와의 일문일답.
Q①. 성폭력 폭로 이후 어떻게 지냈나.
△A①. 저는 정의당 내에서 제가 당했던 성폭력 사건 두 건을 공개적으로 이야기했습니다. 더 이상 가슴에 묻고 제가 살아갈 수가 없겠다는 심정으로 폭로를 결심했습니다. 정의당에서는 제가 피해를 호소한 다음 날, "그것은 성폭력이 아니라 불필요한 신체접촉이었다"는 내용의 공식 입장을 발표했습니다. 당의 입장문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정의당이 더 이상 제가 알던 정의당이 아닌 것만 같습니다. 지금 저는 절망 속에 있습니다. 제 심정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가해자 중 한 명은 정의당의 지방선거 단체장 후보로서 현재도 선거운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습니다. 그를 공천한 것에 대해 당 차원의 재검토는 없는 것으로 들었습니다.
Q②. 폭로 이후 정의당 측에서 따로 연락을 취해온 것이 있는지.
△A②. 제가 처음 피해를 공개적으로 밝히고 다음날 당 입장문이 발표되기까지 당으로부터는 어떠한 연락도 오지 않았습니다. 저에게 사실 확인을 거치지 않은 채로 당 입장문을 발표했습니다. 당 입장문이 발표되고 며칠 뒤, 최근에 여영국 당대표 명의의 공문을 이메일로 수신했습니다. 저를 추행한 정의당 광역시도당위원장 사건에 대해 조사를 시작한다는 간략한 내용이었습니다. 이에 대해 저는 '성폭력이 아니라 불필요한 신체접촉'이라는 당 입장을 유지하는 채로 조사를 하는 것인지, 가해자 공천은 유지하는 것인지 질의하였습니다만, 아직 답변을 받지는 못했습니다.
Q③. 폭로 이후 가해자로부터 직접적인 사과라던지, 연락을 취해온 일이 있나.
△A③. 두 건의 성폭력 사건 중에, 청년정의당 당직자에 의한 사건이 있습니다. 해당 가해자는 제가 피해를 밝힌 뒤에 저에게 개인적으로 연락을 시도하였습니다. 그에게 더 이상 연락하지 말아달라고 했습니다. 폭로 이후, 두 건 모두 가해자들로부터 사과를 받지는 못했습니다.
Q④. 청년 정치인의 성폭력 고백, 쉽지 않았을 결정이었을 텐데.
△A④. 지금 정의당 내의 당 간부들이나 당원들의 경우, 저에게 "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성폭력 피해 폭로를 했다"는 비난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만약 저의 정치적 입지를 생각했다면, 피해 사실을 영원히 숨겼을 것입니다. 제가 폭로를 한 이후 당에서 나오는 반응을 보면 정의당에서 저의 정치적 가능성은 끝난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비록 당에서 이 정도로 피해 호소를 묵살하는 입장이 나올 줄은 몰랐지만, 어찌되었건 저는 제 정치생명을 걸고 목소리 내기를 택한 것입니다. 피해를 밝히기 전에, 저는 '정치를 계속할 것인가, 아니면 존엄하게 생존할 것인가'를 고민했고, 결국 저 스스로의 존엄과 생존을 위해 피해를 밝히기로 마음먹었습니다. 다만 정당이라는 집단을 상대로 목소리를 내야 하는 상황에 처하다 보니, 권력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새삼 느끼게 됩니다. 당내에서 피해자를 '못 믿을 사람'으로 낙인찍는 과정을 보면서 또다시 억울할 수밖에 없습니다. 한때 당 내에서 친분이 있던 사람들마저 저에게 등을 돌리는 모습 역시 가슴이 찢어집니다.
Q⑤. 정의당이 밝힌 공식입장에 대해 반박하는 입장이 있다면.
△A⑤. 이미 SNS를 통해 여러 차례 밝혔습니다만 저는 단 한 줄도 거짓을 고하지 않았습니다. 11월에 일어났던 모 광역시도당위원장 사건의 경우, 저는 비공개 선대위 회의에서 처음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하였고 구체적인 피해 내용을 밝혔습니다. 해당 위원장이 두 차례 신체접촉을 하였고, 해당 부위는 제 허벅지 안쪽이었으며, 저는 당황해서 몸이 굳어 있다가 자리를 피했는데 가해자가 계속 따라와서 곤란하였다는 상황을 구체적으로 말씀 드렸습니다. 또한 당일 가해자는 다른 성폭력 사안에 대해 2차 가해 발언을 하고, 여성 정치인에 대해 '년'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고 보고 하였습니다. 저는 그가 한 행위가 "성추행이 아니다"라는 말을 공식 회의에서 드린 바가 없습니다. 오히려 "제가 당내에서 겪은 젠더폭력이 이것만이 아니다"라고 말씀드려서, 제가 이것을 성 관련 사안이라 인지하고 있음을 말씀드렸습니다. 당에서는 제가 먼저 '엄중 경고와 사과'로 사안을 덮기를 주장했다고 입장을 발표했습니다. 그러나 제가 이 문제를 처음 제기한 공식 회의에서 저는 제가 먼저 그렇게 주장하지 않았습니다. 회의의 결론을 낸 것은 당대표였습니다. 당시에는 위축되고 혼란스런 심정 속에서 회의 결론에 제가 반발하지 않았습니다. 반발하지 않은 것이 잘못이라면 잘못이겠지만, 제가 먼저 사건을 덮자고 주장한 것처럼 당이 입장을 내고 있는 것은 납득되지 않습니다.
Q⑥. 해당 사건에 대해 향후 어떠한 조치를 취할 계획인지.
△A⑥. 사실 지금 저는 몸과 마음이 너무 많이 무너져서 향후 계획에 대한 생각은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의당 내에서 정의를 구할 수 없다면 다른 방식을 택해야 한다는 고민은 하고 있습니다만 구체적으로는 아직 고민하지 못했습니다.
Q⑦. 다른 할 말이 있다면.
△A⑦. 지난 11월, 모 광역시도당위원장에 의한 성추행 사안을 당의 공식 회의에서 문제제기하기로 결심했을 때, 저는 당이 제발 변화하기를 바랐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저는 또다시 당직자에 의한 성폭력 피해를 입어야 했습니다. 가해자에 대한 조치와 처벌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도 문제이지만, 가해자 개인을 조치하는 것을 넘어서 당의 전반적인 조직문화가 변화하기를 바랍니다. 정의당이 그동안 문제를 대하는 방식은, '바깥으로 논란이 되면 개인으로 꼬리자르고', '외부로 드러나지 않으면 문제가 되지 않는' 악순환을 반복해왔다고 생각합니다. 진보정당이라는 조직이 그러해서는 안 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이제 저는 정치를 더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다른 여성 청년들이 정치에 도전할 때 저 같은 일을 겪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